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EV/EBITDA란 무엇인가? M&A와 투자에서 핵심 지표로 활용되는 이유

by 오잘이다 2025. 3. 11.

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EV/EBITDA는 빠질 수 없는 핵심 지표입니다. 투자자라면 주식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때, M&A 전문가라면 인수 가격의 적정성을 분석할 때 자주 활용되죠.

 

EV/EBITDA를 알아야 하는 이유

EV/EBITDA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기업의 가치를 이해하고, M&A나 투자에서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. 인수 시 적정 가격을 판단하거나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데 활용할 수 있고, 이 지표를 업종 평균과 비교하며 투자 전략을 만들 수 있어요.

 

EV/EBITDA란? 기본 정의와 계산법

EV/EBITDA 뜻

EV/EBITDA는 **기업 가치(EV, Enterprise Value)**를 **이자, 세금,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(EBITDA)**으로 나눈 비율입니다. 쉽게 말해, 기업의 총 가치가 연간 운영으로 창출하는 이익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  • EV (기업 가치): 시가총액 + 총 부채 - 현금 및 현금성 자산
    → 주식 가치뿐 아니라 부채와 현금을 포함한 기업 전체의 실질적인 가치.
  • EBITDA: 영업이익 + 감가상각비 + 무형자산 상각비
    → 이자나 세금 같은 외부 요인을 제외한 순수 운영 성과.

계산 공식

EV/EBITDA = (시가총액 + 총 부채 - 현금) ÷ EBITDA

예시

  • 시가총액 1,000억 원, 부채 300억 원, 현금 100억 원, EBITDA 200억 원인 기업:
  • EV = 1,000 + 300 - 100 = 1,200억 원
  • EV/EBITDA = 1,200 ÷ 200 = 6배
  • → 이 기업의 가치는 연간 EBITDA의 6배라는 의미입니다.

 

M&A에서 EV/EBITDA가 중요한 이유

M&A(인수합병)에서는 기업을 인수할 때 실질적인 비용과 기대 수익을 분석해야 합니다. EV/EBITDA는 이를 위한 완벽한 도구로 꼽힙니다.

  1. 실제 인수 비용 파악
    EV는 주식 가치에 부채와 현금을 반영해 인수자가 실제로 지불해야 할 금액을 보여줍니다. 예를 들어, 부채가 많다면 그만큼 추가 비용이 든다는 점을 알 수 있죠.
  2. 운영 성과 평가
    EBITDA는 자본 구조나 회계 방식과 무관하게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냅니다. 인수 후 얼마나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지 예측 가능합니다.
  3. 적정 가격 판단
    업종 평균 EV/EBITDA가 10배인데, 대상 기업이 7배라면 저평가된 매물로 볼 수 있습니다. 반대로 12배라면 과대평가 가능성을 점검해야겠죠.

 

투자에서 EV/EBITDA가 빛나는 이유

투자자들은 EV/EBITDA를 통해 저평가 주식을 찾거나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합니다.

  1. 저평가 주식 발굴
    EV/EBITDA가 낮은 기업은 시장에서 저평가된 경우가 많습니다. 예를 들어, 경쟁사 평균이 10배인데 특정 기업이 6배라면 매수 기회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  2. P/E의 한계 극복
    주가수익비율(P/E)은 부채를 고려하지 않지만, EV/EBITDA는 부채와 현금을 포함해 더 현실적인 가치를 보여줍니다.
  3. 현금 흐름 간접 확인
    EBITDA는 기업이 배당이나 재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현금 흐름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.

 

EV/EBITDA의 장점과 한계

장점

  • 포괄적 평가: P/E보다 부채와 현금을 반영해 더 정확합니다.
  • 업종 비교 용이: 자본 구조가 달라도 운영 성과를 공정하게 비교 가능합니다.
  • M&A와 투자 겸용: 인수와 투자 모두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.

한계

  • 부채 상환 능력 미반영: 높은 부채를 가진 기업의 위험을 간과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업종별 차이: 자산 집약적인 업종과 경량 업종 간 비교 시 왜곡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조작 가능성: EBITDA는 회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EV/EBITDA 활용법

  • M&A 사례:
    A사가 B사를 인수하려 할 때, B사의 EV가 5,000억 원, EBITDA가 500억 원이라면 EV/EBITDA는 10배입니다. 업종 평균이 12배라면 저렴한 인수 기회로 볼 수 있죠.
  • 투자 사례:
    C사의 EV/EBITDA가 7배로 경쟁사 평균 10배보다 낮다면, 성장성이 좋을 경우 저평가 주식으로 투자 매력이 커집니다.

 

댓글